1. 이번 시간은
지난 시간 : LED 깜박이기 - 그냥 따라하기
지난 시간의 결과물입니다. 그냥 따라하기였으므로 이번시간은 이해하기 입니다.
브레드보드의 사용법과 LED와 전기 저항과 점퍼케이블에 대하여 좀 더 알아보겠습니다.
2. 브레드보드(빵판, breadboard)
2.1 브레드보드는 전자회로 실험에서 기판에 납땜을 하지 얺고도 회로를 구성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2.2 브레드보드의 접점간의 연결상태
접점간의 연결상태입니다.
한 접점에 꽂으면 표시된 선까지는 모두 연결됩니다. 아래 그림에서 가로의 긴 줄의 접점에 부품의 단자 또는 점퍼케이블이 꽂히면 25개의 접점이 모두 연결이 됩니다. 세로의 접점에 꽂히면 5개의 접점이 모두 연결이 됩니다.
2.3 버스 띠
버스띠는 전원 공급을 하기 위한 것입니다.
주로 아두이노로 부터 전원이 공급됩니다. 가로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한 점접이 연결되면 25개의 접점이 모두 연결이 됩니다.
2.4 단자 띠
단자띠는 부품들간의 연결을 하기 위한 것입니다.
LED, 전기저항, 센서 등이 이 곳에 배치됩니다. 세로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한 접점이 연결되면 5개의 접점이 모두 연결이 됩니다.
2.5 브레드보드 사용법
잘못된 배치 : 같은 단자띠에 부품을 연결하면 합선이 일어납니다. 아래 그림(잘못된 배치)의 LED의 긴다리와 짧은 다리가 같은 단자띠(5개 접점)에 있으므로 합선이 일어납니다. 또 아래 그림(잘못된 배치)의 전기 저항도 같은 단자띠(5개 접점)에 있으므로 합선이 일어납니다.
옳은 배치 : 분리된 다른 단자띠에 부품을 연결해야 합니다. 아래 그림(옳은 배치)의 LED의 긴다리와 짧은 다리가 다른 단자띠(5개 접점)에 있고 또 아래 그림(옳은 배치)의 전기 저항도 다른 단자띠(5개 접점)에 있으므로 옳은 배치를 한 것입니다.
3. 부품 배치
3.1 배치도
아두이노(아래쪽)와 브레드보드가 있습니다. 브레드보드에 부품들이 있고 점퍼케이블로 아두이노가 연결되어 있습니다.
3.2 부품 세부 배치
3.2.1 LED 배치
LED는 전기 에너지를 빛 에너지로 변환한 발광 다이오드입니다.
긴 다리에 +전극을, 짧은 다리에 -전극을 연결하면 됩니다. 아래 그림에서는 긴다리는 오른쪽에 있고 짧은 다리는 왼쪽에 있으며 두 다리는 다른 단자띠에 꽂혀 있습니다.
3.2.2 전기 저항 배치
전기 저항은 전기의 전류가 적당히 흐를 수 있도록 조절하는 전기 부품입니다.
아래 그림에서 전기 저항이 없고 전류가 지나치게 흐를 경우 LED에 고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저항은 저마다 각각 저항값을 가지고 있으므로 작업에 맞는 저항값을 가진 저항을 선정해야 합니다. 그럴려면 저항값을 계산해야 하는데 자세한 저항값의 계산방법과 저항에 대해서는 적당한 시간에 자세히 하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그림에서는 LED의 긴다리(+전극)의 단자띠에 저항을 연결하였습니다.
3.2.3 아두이노 12번핀과 저항 연결
점퍼케이블(점퍼와이어, 점퍼선)는 전기가 흐를 수 있도록 연결해주는 부품입니다.점퍼케이블로 아두이노의 12번핀과 브레드보드의 저항 한쪽의 단자띠와 연결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12번핀에서 저항을 거쳐 LED의 긴다리로 연결되고 짧은 다리까지 연결되었습니다.
3.2.4 단자띠와 버스띠 연결
점퍼케이블로 LED의 짧은 다리(-전극)의 단자띠와 버스띠를 연결합니다.
다음에 버스띠에 아두이노의 GND핀이 연결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3.2.5 버스띠와 아두이노의 GND핀 연결
점퍼케이블로 아두이노 GND핀과 버스띠를 연결합니다.
드디어 12번핀 - 저항 - LED - GND로 모두 연결되었습니다.
4. 코드
1
2
3
4
5
6
7
8
9
10
|
void setup() {
pinMode(LED_BUILTIN, OUTPUT);
}
void loop() {
digitalWrite(LED_BUILTIN, HIGH);
delay(1000);
digitalWrite(LED_BUILTIN, LOW);
delay(1000);
}
|
cs |
4.1 setup() 함수의 코드
pinMode(LED_BUILTIN, OUTPUT);
12번핀을 출력으로 사용합니다. 지금은 12번핀과 LED가 연결되어 있습니다.
4.2 loop() 함수의 코드
digitalWrite(LED_BUILTIN, HIGH);
delay(1000);
12번핀을 HIGH시키면 LED에 불이 켜지고 그 상태로 1초간 있습니다.
digitalWrite(LED_BUILTIN, LOW);
delay(1000);
12번핀을 LOW시키면 LED에 불이 꺼지고 그 상태로 1초간 있습니다.
5. 다음 시간에는
수고하셨습니다.
'아두이노 냠냠'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 LED 3개 IF문으로 깜박이기 (0) | 2020.10.24 |
---|---|
09 LED 3개 차례로 깜박이기 (0) | 2020.10.21 |
07 LED 깜박이기 - 그냥 따라하기 (0) | 2020.10.15 |
06 시리얼 모니터 사용하기 2 (0) | 2020.10.13 |
05 시리얼 모니터 사용하기 1 (0) | 2020.10.11 |